엑셀 카메라 기능
사무직들에게 필수적인 엑셀은 정말 만능에 가까운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합니다. 엑셀로 거의 모든 것을 구현할 수 있다고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엑셀의 수많은 기본적인 기능들 외에 카메라 기능은 고급 사용자들을 위한 필수적인 도구라고 생각됩니다. 사람들도 언젠가 한번은 봤던 거라 기억은 하고 있지만 어디서 이 기능을 실행시키는지 모르는 분들을 위해 엑셀 카메라 기능 빠른실행 도구에 추가하는 법에 대해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엑셀을 처음 실행하고 보이는 다양한 명령 아이콘들은 정말 자주 이용하는 기본적인 명령들만 나와 있는 것이고 이보다 훨씬 만은 기능들은 숨겨져 있습니다. 카메라 기능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래서 추가기능을 꺼내서 빠른실행 도구에다가 옮겨 놓고 쓰는 것이 좋습니다. 카메라 기능도 문서를 만드는 분이라면 자주 쓰는 것이니까요.
이 카메라 명령을 꺼내는 방법은 아주 쉽습니다.
두가지 경로를 통해 들어갈 수 있는데 먼저 우측 맨 상단에 있는 빠른도구모음함에 메뉴를 눌러서 '기타명령'을 클릭합니다.
아니면 '파일'메뉴로 들어가서 '옵션'을 클릭하고 나오는 창에서 '빠른 실행 도구 모음'을 누릅니다.
이 두가지 경로로 들어간 뒤, 아래 그림처럼 '명령 선택'에서 '모든 명령'을 선택합니다.
모든 명령이 아래에 나오게 되면 '카메라'라는 기능을 찾아 선택하고 '추가'를 한 다음 '확인'을 누르시면 됩니다.
그럼 아래 사진처럼 빠른실행도구모음에 카메라가 추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한번 실행해 볼까요?
엑셀문서를 열고 카메라를 이용해 이미지로 만들고 싶은 부위의 셀을 드래그 하여 영역을 선택합니다. 그 다음 카메라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드래그한 영역이 움직이는 점선으로 표현되면서 커서가 +모양으로 바뀝니다. 이제 영역 바깥쪽에 +모양의 커서를 클릭만 하면 아래와 같이 이미지가 해당 부위에 찍혀서 나옵니다.
이젠 셀 내용을 바꾸면 바꾸는대로 이미지에 변경되어 표시됩니다.(다른 곳으로 이미지를 이동시키지 않는 경우에 한해) 만일 이 이미지를 파일로 저장하고 싶다면 제가 주로 쓰는 방법은 이 이미지를 파워포인트에 ctrl+C, ctrl+V하여 옮긴다음 여기서 그림으로 저장하는 방법입니다. 이게 가장 편하더라구요. 지금까지 엑셀 카메라 기능 빠른실행 도구에 추가하는 방법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블로그 인기글
옷 커피자국 집에서 지울 수 있는 방법들
밖에서 또는 집에서 생기게 된 옷 커피 자국 어떻게 지워야 하나 고민하는 분들 많으시죠. 세탁소에 맡기자니 돈 들고 혼자서 지워보자니 이게 제대로 지울 수 있는 것인지 모르겠고 하는 생각 저도 해봤습니다. 옷에 커피를 흘리고 그리 많은 시간이 지나지 않았다면 집에서도 쉽게 지울 수 있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 소개한 몇가지 옷 커피자국 지우는 방법을 한번 사용해 보세요. 여러분의 시간은 소중하니까 아주 빠르게 이 방법들을 나열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탄산수 집에 있다면 가능한 빨리 옷을 벗고 세제를 이용하여 커피 묻은 부위를 빨아내면 되지만 밖에 있어서 그게 어렵다면 탄산수를 이용해 보세요. 탄산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산화탄소가 옷 섬유에 침착된 커피 입자를 밖으로 배출시켜 줍니다. 커피 묻은..
springincoffee125.tistory.com
'뱁새'와 '오목눈이' 어떻게 다를까
"뱁새가 황새 쫒아가다 가랑이 찢어진다"라는 속담을 들어보신 적 있으실 겁니다. 이 속담에서 등장하는 뱁새는 어떤 새인지 아시나요? 뱁새는 한국 토종새입니다. 속담에서 알 수 있듯이 작은 크기의 새입니다. 작지만 귀여움은 넘쳐흐르는 새이기도 하죠.뱁새는 '붉은머리오목눈이'라고 불립니다. 오목눈이 중 붉은머리를 가졌다는 의미이겠지요. 인터넷에 보면 뱁새 사진이 오목눈이를 잘못 부르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뱁새와 오목눈이는 엄밀히 구분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뱁새 뱁새뱁새는 앞서 말씀 드린 것처럼 붉은머리오목눈이입니다. 한반도와 동남아시아에 서식하는 참새목의 연작류입니다. 학명은 Sinosuthora webbiana 입니다. 뱁새(붉은머리오목눈이) 오목눈이오목눈이는 뱁새와 생김새가 비슷합니다. 하지..
springincoffee125.tistory.com